티스토리 뷰

목차



    목차

       

       

       

      안녕하세요. 부추입니다.

      9호선 등촌역 역세권에 자리 잡은 등촌2동 516 일대 모아타운은 관리계획 고시까지 나온 속도가 빠른 추진 지역입니다. 현제 이주가 완료된 등촌1구역 재건축과 함께 등촌동의 핵심지역으로 성장할 등촌2동 모아타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등촌2동 516 일대 모아타운 정보

       

      등촌2동 516 모아타운 기본정보

       

      등촌2동 516 일대 모아타운은 지난 2023년 11월 30일 관리계획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하였습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은 2021년 4월 모아타운 선도사업 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모아타운은 10만㎡ 이내의 노후 저층 주거지를 개선하는 정비사업입니다. 하지만 이번 등촌2동의 경우, 신규 구역을 추가하면서 면적이 97,430㎡에서 129,671㎡로 늘어나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2개 구역으로 나누게 되었습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

       

       

      • 구역 1: 등촌동 515-44 일대
      • 구역 2: 등촌동 520-3

       

      등촌2동 모아타운

       

       

       

      등촌2동 모아타운은 제1종, 제2종 일반주거지역 60%, 자연경관지구 50%, 제3종 일반주거지역 50%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관리계획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를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 등촌동 515-44 일대 및 등촌동 520-3 일대 관리계획 승인 고시 다운로드하기👇

      모아타운 관리계획 승인 및 지형도면 고시(등촌2동 515-44, 520-3)(서울시공고 제2023-520호).pdf.pdf
      8.08MB

       

       

      예상 세대수

       

      등촌2동 모아타운은 총 2,143세대로 계획중이며, 이 중 임대 457세대가 공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의 경우, 일반분양이 많아 사업성이 높은 지역입니다. 세대수는 실제 설계가 진행되면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도면표시 사업구역 전체세대 기존 세대 임대세대 일반분양
      합계 2,143 581 457 1,105
      소계 1,477 391 313 773
      등촌동 515-44일대
      (관리지역 1)
      1구역 465 125 99 241
      2구역 357 104 92 161
      3구역 438 106 77 255
      4구역 217 56 45 116
      소계 666 190 144 332
      등촌동 520-3일대
      (관리지역 2)
      1구역 259 65 76 118
      2구역 407 125 68 214

       

       

       

      등촌2동 모아타운 권리산정기준일

       

      등촌2동 516 일대 모아타운은 2개의 사업대상지로 변경되면서 기존 선정된 구역의 권리산정기준일은 2022년 6월 23일이며, 신규 편입된 일부 구역의 권리산정기준일 2023년 11월 30일입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등촌2동 모아타운

       

       

       

      현재 진행상황 

       

      현재는 합설립 동의서 징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예비조합원 대상으로 아파트 평형선택 여론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 25평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습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

       

       


      권리산정기준일에 대하여 

       

      모아타운의 경우, 권리산정기준일 전 착공신고가 된 주택까지 분양대상으로 인정되며 현금 청산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필지의 토지가 여러 개의 필지로 분할되는 경우
      • 단독주택 또는 다가구주택이 다세대 주택으로 전환되는 경우
      • 하나의 대지 범위에 속하는 동일인 소유의 토지 및 주택 등 건축물을 토지 및 주택 등 건축물로 각각 분리하여 소유하는 경우
      • 나대지에 건축물을 새로 신축하거나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다세대주택, 그 밖의 공동주택을 건축하여 토지등소유자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 권리산정기준일까지 착공신고를 하더라도, 조합설립인가 전까지 소유권을 확보하고 관련 법률과 서울시 조례 규정에 충족되어야 분양대상 인정

       

       

      등촌2동 모아타운 특징

      등촌2동 모아타운 교통정보

       

      등촌2동 모아타운은 9호선 등촌역을 이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나 초역세권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출구에서 800m 내 모든 구역이 들어오기 때문에 역세권 아파트로 변신할 예정입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

       

       

      등촌2동 모아타운 학군정보

      등촌2동 모아타운은 등촌초, 백석중, 영일고를 바로 옆에 두고 있어 교육환경이 우수합니다. 초등학교 배정은 서울 등촌초등학교로 배정됩니다. 

       

       

      백석중학교의 경우, 지역 내에서 4순위 정도의 중학교로 2023년 기준, 과학고 1명, 외고 6명이 진학했습니다. 

       

      등촌2동 모아타운등촌2동 모아타운
      출처: 아실

       

       

       

      등촌2동 모아타운 통합조합 정보

      등촌2동 모아타운 통합조합사무실 위치

       

      • 주소 : 서울 강서구 등촌로 39길 18(등촌동 524-5)
      • 연락처: 02-2062-2027

       

      등촌2동 모아타운

       

       

       

      등촌2동 모아타운 최신정보 확인하기

       

      등촌2동 모아타운 추진위는 비대면 회의 및 설명회를 자주 진행하고 있어 유튜브를 통해서도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등촌2동 통합모아타운 카톡방 입장하기 👇

      등촌2동 모아타운 카톡방

       

       

      👇 등촌2동 통합모아타운 유튜브 바로가기 👇

       

      등촌2동 모아타운 유튜브

       

       

       

       

      인근 강서구 재개발 

       

      등촌동은 서울 서남권 재개발의 핵심지역입니다. 2024년 2월 발표한 오세훈 시장의 "서남권 대개조" 중 9호선이라는 황금노선을 가지고 있어으로 대규모 주거지역으로 발전 가능한 곳이며, 지금 투자하기 좋은 곳입니다. 

       

      서남권대개조

       

       

      오늘 소개한 등촌2동 모아타운 역시 모아타운 지정이 후 여러 번의 구역 변경을 진행한 지역으로, 이러한 개발지역 투자 시 최신 개발정보를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현장 임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든 지역을 임장 할 시간이 부족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상황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임장지도를 소개합니다. 

       

      화곡1동 1087번지 모아타운화곡1동 1087번지 모아타운
      서남권 대개조 임장지도

       

      "한 권으로 끝내는 임장지도"도는 모아타운, 신속통합 등 선정된 개발 지역 외에도 발품으로만 알 수 있는 극초기 개발 추진지역까지 모두 담고 있으며, 지주택, 지구단위계획까지 한 권에 담아 여러분들의 소중한 손품, 발품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소액투자를 희망하시는 분들은 임장지도를 통해 초기 추진 지역을 소액으로 선점해 보시길 바랍니다. 

       

       

      화곡1동 1087번지 모아타운 임장지도

       

       

       

       

       

      반응형